코로나 사태에도 시민 수천 명이 한곳에 모이는 곳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홍콩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보안법 입법에 반발해 수천 명의 시민들이 행진에 나섰던 홍콩. <br /> <br />강경 진압으로 200명 가까이 체포되고 10여 명이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[빈센트우 / 홍콩시민 (24살) : 우리 세대가 (홍콩보안법 반대를 위해) 싸우러 나오지 않으면 다음 세대에는 자유가 사라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홍콩의 국가보안법. <br /> <br />외국 세력의 홍콩 내정 개입 금지, 국가 분열 및 테러리즘 활동 처벌, 국가안보 교육 강화 등을 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반 시 최고 징역 30년 형까지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홍콩의 자체적인 입법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97년 영국으로부터 반환된 뒤 중국은 홍콩에 대해 '1국 양제' 원칙을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나 국방 주권은 중국이 갖되, 나머지는 홍콩이 자체적으로 주권을 행사해 왔는데, 그 원칙을 사실상 무너뜨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크리스 패튼 전 영국령 홍콩 총독 등 세계 각국 정치 지도자 200여 명은 "홍콩의 자율성과 법치, 기본적 자유에 대한 포괄적 공격"이라고 비판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은 단호한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왕이 / 중국 외교부장 : 홍콩은 중국의 내정입니다. 외국의 간섭은 허용될 수 없습니다. 내정 불간섭은 모든 나라가 지켜야 할 국제 규범의 기본입니다.] <br /> <br />미·중 갈등도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오브라이언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"중국이 보안법을 통해 홍콩을 장악하려는 걸로 보인다"며 "제재가 있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미국이 자유와 인권이라는 가치 때문에 홍콩 국가보안법을 반대하는 것만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에 각국이 정신 팔려있는 사이, 중국이 그동안 주춤했던 홍콩과 타이완, 남중국해 등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본격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광렬 [parkkr0824@ytn.co.kr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52612561614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